맨위로가기

아마눌라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마눌라 칸은 1892년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나 하비불라 칸의 아들로, 1919년부터 1929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왕으로 재위했다. 그는 근대적인 헌법 제정, 파슈토어 장려 등 국가 근대화를 추진했으나, 급진적인 개혁으로 인해 보수 세력의 반발과 내전을 겪었다. 1929년 퇴위 후 망명 생활을 하다가 1960년 스위스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시신은 아프가니스탄 잘랄라바드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 국왕 - 모하마드 자히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는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국왕으로, 국제 관계 증진, 현대화 추진,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했으며, 쿠데타로 망명 후 귀국하여 국부로 존경받다 2007년에 사망했다.
아마눌라 칸
기본 정보
아마눌라 칸
칭호가지
영어 이름Amanullah Khan
통치
아프가니스탄 수장재위 시작: 1919년 2월 28일
재위 종료: 1926년 6월 7일
이전 수장: 나스룰라 칸
다음 수장: 아마눌라 칸 (국왕으로 즉위)
아프가니스탄 국왕재위 시작: 1926년 6월 9일
재위 종료: 1929년 1월 14일
이전 국왕: 아마눌라 칸 (수장에서 국왕으로 변경)
다음 국왕: 이나야툴라 칸
개인 정보
출생일1892년 6월 1일
출생지파그만, 아프가니스탄 에미레이트
사망일1960년 4월 26일
매장지잘랄라바드, 아프가니스탄
배우자소라야 타르지
자녀아미나 샤 공주
아베다 비비 공주
멜리하 공주
라흐마툴라 아프가니스탄 왕세자
사이풀라 왕자
히마야툴라 왕자
아딜라 공주
에산울라 왕자
인디아 공주
나기아 공주
부친하비불라 1세 왕자, 아프가니스탄 왕자
모친사르와르 술타나 베굼
가문
왕조바라크자이

2. 어린 시절

어린 아마눌라


아마눌라 칸은 1892년 6월 1일 아프가니스탄 카불 근처 파그만에서 파슈툰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미르 하비불라 칸의 셋째 아들이었다. 아마눌라는 카불의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군대와 재무부를 통제했으며, 대부분의 부족 지도자들의 충성을 얻었다.[38]

3. 즉위 과정

1919년 2월, 아미르 하비불라 칸이 라그만 주에서 사냥 중 암살당했다.[7] 암살 이후 왕위 계승 과정에 혼란이 있었다. 하비불라 칸의 형제 나스룰라 칸이 잘랄라바드에서 아미르로 선포되었고, 하비불라의 첫 아들 이네야툴라 칸의 지지를 받았다.[8]

그러나 카불에 남아 있던 하비불라의 셋째 아들 아마눌라 칸은 쿠데타를 일으켜 카불과 중앙 정부를 장악하고 스스로 아미르임을 선포했다.[9] 그는 나스룰라 칸을 체포하여 투옥했고,[10] 조작된 증거를 통해 암살에 연루된 혐의를 씌워 종신형을 선고했다.[8] 나스룰라 칸은 약 1년 후 왕실 감옥에서 암살당했다.[10]

4. 통치와 개혁

아마눌라 칸은 마흐무드 타르지의 지시에 따라 평등한 권리와 개인의 자유를 포함하는 근대적 헌법을 구상했다.[12] 1922년, 국가 최초의 헌법인 "아프가니스탄 최고 정부 규정"을 제정하여 모든 시민이 평등한 권리와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했다.

아마눌라는 교육 분야에서 큰 개혁을 추진했다. 지역별로 국제적인 학교를 설립하고, 여성의 복장 규정을 완화하는 등 전통을 개혁했다. 초등 교육을 의무화하고 문해력 과정을 개발했으며, 종교 과목과 현대 과학을 함께 가르쳤다. 다리어가 공식 언어였지만, 파슈토어를 아프가니스탄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으로 장려하여 1936년에는 공식 언어로 선포되었다.

1919년, 아마눌라는 숙부 나스룰라 칸을 몰아내고 국왕(아미르)에 즉위하여 아프가니스탄의 독립을 선언했다. 영국에 지하드를 선포하고 제3차 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일으켜 영-아프간 조약을 통해 독립을 쟁취했다.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고, 제한적인 아프가니스탄 공군을 창설했다.

그러나 이러한 급격한 근대화는 호스트 반란과 같은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성직자들은 일부다처제 및 미성년자와의 결혼 금지, 차도르 착용 의무 철폐, 여성 교육 등에 반대하며 봉기를 일으켰다.

1926년 6월 7일, 국왕의 칭호를 아미르에서 로 변경하고, 소비에트 연방과 중립 및 상호 불가침 조약을 체결했다.

5. 유럽 순방

아마눌라 칸과 프랑스 대통령 가스통 두메르그 (1928년 1월)


아마눌라 칸이 베를린 방문 중 힌덴부르크와 함께 (1928년 2월)


아마눌라 칸이 터키 방문 중 배에서 아타튀르크와 함께 (1928년 5월)


아마눌라 칸은 1927년 말부터 유럽을 순방했다.[13] 카라치 항구를 출발하여 이동 중 카이로에서 이집트 국왕 푸아드 1세를 만났다. 이후 유럽을 순회하며 방문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국가도착일자주요 회담
이탈리아1928년 1월 8일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 총리 무솔리니, 교황 비오 11세
프랑스1928년 1월 22일(니스), 1월 25일(파리)대통령 두메르그
벨기에1928년 2월 8일(브뤼셀)국왕 알베르 1세, 벨기에의 엘리자베스 여왕
독일1928년 2월 22일(베를린)대통령 힌덴부르크
영국1928년 3월 13일(도버)조지 5세, 메리 여왕
폴란드1928년 4월 28일(즈봉신)대통령 모시치키, 원수 피우수트스키
터키1928년 5월 20일대통령 아타튀르크



조지 5세와 메리 여왕의 초청으로 영국을 방문, 1928년 3월 13일 증기선 ''SS 메이드 오브 올리언스''를 타고 도버에 도착했다. 4월 5일 영국을 떠나 폴란드로 향했는데, 도중에 베를린에 잠시 머물며 응급 편도선 절제술을 받았다. 4월 28일 폴란드 국경 마을 즈봉신에 도착했고, 다음 날 바르샤바에서 폴란드 장관, 세임 의장, 대통령 모시치키의 영접을 받았다. 아마눌라는 그의 요청으로 폴란드 초대 원수 유제프 피우수트스키와 면담했다. 5월 2일, 아프가니스탄 대표단은 바르샤바를 출발하여 동쪽으로 이동, 소련 국경을 넘었다.[13]

터키 방문에서 대통령 아타튀르크를 만났으며(1928년 5월 20일), 당시 터키는 아프가니스탄과 최초의 기술 지원 협정을 체결했다.[14]

6. 반발과 내전

아마눌라 칸의 급진적인 개혁은 보수적인 종교 세력과 부족들의 반발을 샀다. 1923년 이후 보수파의 봉기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1924년 팍티야 주에서 파슈툰족의 봉기가 일어났지만 진압되었다.[40] 1928년 유럽 순방 이후 반대가 심화되어 각지에서 봉기가 일어났다. 특히, 하비불라 칼라카니를 중심으로 한 이슬람 보수 세력 및 반대 세력이 봉기하였다.

1928년 12월 14일, 칼라카니는 코히스탄인 그룹과 함께 카불을 공격하여 9일간의 전투 끝에 격퇴당하고 파그만으로 후퇴했다. 그는 1929년 1월 7일 다시 공격을 시작하여 카불을 성공적으로 점령했다.

1929년 아프간 전통 복장을 하고 소총을 든 전 국왕 아마눌라 칸.


1929년 1월 14일, 아마눌라 칸은 퇴위하고 영국령 인도로 망명했다.[40] 그의 이복형제 이나야툴라 칸이 잠시 왕위에 올랐으나, 1929년 1월 18일 아르크를 칼라카니에게 넘기면서 곧 하비불라 칼라카니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칼라카니는 스스로를 아프가니스탄의 아미르로 선포했다. 1929년 3월, 아마눌라 칸은 군대를 모아 칼라카니를 몰아내려 했으나 1929년 4월에 카불로 진격하려 했지만 그의 군대는 무쿠르, 가즈니주에서 패배했고, 1929년 5월 23일 다시 인도로 도망쳤다.[40]

7. 망명과 죽음

아마눌라 칸은 인도를 거쳐 이탈리아로 망명했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로부터 성화 훈장을 받았기 때문에 이탈리아 망명이 가능했다.[41] 이후 스위스에서 개인 자격으로 살며 정치에서 물러났다.[36] 1960년 4월 26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사망했다.[3][4] 그의 시신은 아프가니스탄으로 옮겨져 잘랄라바드에 안장되었다.[41]

잘랄라바드의 아마눌라 칸 영묘

8. 가족 관계

아마눌라 칸은 소라야 타르지(1899–1968)와 결혼하여 6명의 딸과 4명의 아들을 두었다. 다음은 그 자녀들의 목록이다.

이름출생사망기타
아미나 샤 공주1916년 5월 14일1992년 10월 29일망명 기간 중 1954년 보스니아 출신의 튀르키예 시민 무스타파 하사노비치 아르와 결혼[26]
아베다 비비 공주
멜리하 공주1920년2011년이스탄불 대학교에서 의사가 되었고, 제랄 바야르의 친척인 튀르키예 엔지니어 A. 타히르 쇠케르와 결혼[27]
아프가니스탄의 라흐마툴라 황태자1921년 6월 7일2009년 9월 11일이탈리아 장군 로돌포 그라치아니의 조카인 아델리아 그라치아니와 결혼[28]
사이풀라 왕자어린 나이에 콜레라로 사망[29]
히마야툴라 왕자어린 나이에 기관지 폐렴으로 사망[30]
아델라 공주1925년2000년이탈리아 기병 장교의 아들인 아르만도 안젤리니 (1924년 8월 10일 출생)와 결혼, 슬하에 4녀[31]
에산울라 왕자1926년2017년마흐무드 타르지의 아들인 타바 타르지 대령의 딸 레일라 타르지와 결혼, 슬하에 2남[32][33]
아프가니스탄의 인디아 공주1929년2023년1951년 이란 지주 카젬 말렉과 결혼, 1966년 아프가니스탄 사업가 압둘 라우프 하이더와 재혼[34]
나기아 공주튀르키예 사업가 일테르 도안과 결혼, 슬하에 2명의 자녀[35]



아마눌라 칸은 소라야 타르지 외에도 여러 차례 결혼했다. 그의 삼촌인 샤자다 나스루울라 칸의 딸인 '알리야 베굼 (1910년 출생)과 결혼했고, 굴샨 베굼과도 결혼했다. 1937년 7월 1일 이전에 로마에서 이탈리아 여성과 결혼하여 아들 나디룰라 칸 왕자 (1943년 6월 17일 출생)를 두었다.[31] 나디룰라 칸 왕자는 두 번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참조

[1] 백과사전 AMĀNALLĀH http://www.iranicaon[...] Columbia University
[2] 웹사이트 Collections Onlin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0-09-19
[3] 웹사이트 Amānullāh Khan ruler of Afghanist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02
[4] 웹사이트 Collections Online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2023-07-02
[5] 웹사이트 Central Asia https://www.bl.uk/su[...] 2020-09-19
[6] 웹사이트 Biography of Amanullah Khan https://www.afghan-w[...] 2001
[7] 서적 Afghanistan 1919: An Account of Operations in the Third Afghan War https://books.google[...] Asia Pub. House 2010-02-22
[8] 웹사이트 Afghanistan 1919-1928: Sources in the India Office Records http://www.bl.uk/res[...]
[9] 서적 The Butcher of Amritsar: General Reginald Dyer https://books.google[...] A&C Black 2006-10-15
[10] 서적 Conflict in Afghanistan: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0-02-22
[11] 서적 The State, Religion, and Ethnic Politics: Afghanistan, Iran, and Pakistan https://books.google[...] Syracuse University Press 1988-08-01
[1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Afghanistan (1923) https://web.archive.[...] Afghanistan Online 2010-12-08
[13] 서적 Historyczna wizyta Amanullaha Chana króla Afganistanu w Europie (1927–1928) (The Historic visit of Amanullah Khan, King of Afghanistan, in Europe /1927-78/) Księgarnia Akademicka
[14] 웹사이트 T.C. Dışişleri Bakanlığı - Turkish Embassy In Kabul - Announcements https://kabul-emb.mf[...] 2024-01-24
[15] 서적 Historical and political who's who of Afghanistan. Hauptbd: Historical and political Who's who https://archive.org/[...] Akad. Druck- u. Verlagsanst 1975
[16] 학술지 Review: King Aman-Allah of Afghanistan's Failed Nation-Building Project and Its Aftermath 2005
[17] 서적 The Soviet Union and Its Southern Neighbours: Iran and Afghanistan 1917-193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3
[18] 서적 The Politics of State Intervention: Gender Politics in Pakistan, Afghanistan, and Iran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3
[19] 뉴스 Afghan King, In Rome Exile, Tightens Belt https://www.nytimes.[...] 1979-04-29
[20] 서적 India in Axis Strategy Klett-Cotta
[21] 서적 Afghan Modern: The History of a Global Nation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09-14
[22] 뉴스 EX-KING AMANULLAH NOW WORKS FOR HITLER http://nla.gov.au/nl[...] 2020-09-19
[23] 서적 India in Axis Strategy Klett-Cotta
[24] 뉴스 Afghan king in Rome Exile https://www.nytimes.[...] 2020-09-18
[25] 서적 Afghanistan: A Short History of Its People and Politics CurzonPress
[26] 웹사이트 Princess Amenah Shah Begum https://www.mahmudta[...]
[27] 웹사이트 Princesse Meliha Soker https://www.mahmudta[...]
[28] 웹사이트 Crown Prince Rahmat Ullah https://www.mahmudta[...]
[29] 웹사이트 Mahmud Tarzi Official Website https://www.mahmudta[...] 2023-07-03
[30] 웹사이트 Mahmud Tarzi Official Website https://www.mahmudta[...] 2023-07-03
[31] 웹사이트 Princess Adelah Angelini https://www.mahmudta[...]
[32] 웹사이트 Crown Prince Ehsan Ullah https://www.mahmudta[...]
[33] 웹사이트 İki Kral Bir Lider https://m.facebook.c[...] 2017-07-29
[34] 웹사이트 Princess India D'Afhanistan https://www.mahmudta[...]
[35] 웹사이트 Princess Nagia Dogan https://www.mahmudta[...]
[36] 뉴스 국왕 아마누라 칸이 퇴위, 형에게 양위 東京日日新聞 1929-01-16
[37] 웹사이트 「アフガンの王女」祖国を憂う タリバン変化に期待―トルコ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21-10-18
[38] 서적 Afghanistan 1919: An Account of Operations in the Third Afghan War https://books.google[...] Asia Pub. House 2010-02-22
[39] 웹인용 Afghanistan 1919–1928: Sources in the India Office Records http://www.bl.uk/res[...] 2022-01-08
[40] 서적 The Soviet Union and Its Southern Neighbours: Iran and Afghanistan 1917-193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23
[41] 서적 Afghanistan: A Short History of Its People and Politics Curzon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